이 글에서 ‘출처‘가 뭔지에 대해서 기초적인 설명을 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출처’를 확장해서 ‘근거’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한다. 위키백과가 아닌 다른 위키에서는 일반적으로 논쟁 방지를 위한 근거 제시가 주로 관찰된다고 전 글에서...
카테고리: 위키의 개념들
위키의 글은 어디에서 오는가
사람들이 위키에 글을 쓸 때 여러 가지 기반 자료들이 작용한다. 위키의 서술에는 자료가 필요하지 않고 머리 속에서 바로 나올 수 있는 서술들도 있지만, 작성하기 위해서는 자료를 참고하면서 적어야 하는 글도 있다. 그리고 머리 속에서...
소통비용
소통이란 무엇인가? 독일의 사회학자인 니클라스 루만(Niklas Luhmann)은 소통을 가리켜 정보와 통지, 그리고 이해의 부분으로 본다고 가정한다. 그의 이론을 한마디로 줄이자면 다음과 같다 – 소통을 통해서 우리는 변화한다. 간단하게 보자. 모든 것에는 비용이 발생한다. 소통도...
위키의 개방성과 폐쇄성에 대해서
대한민국에는 수많은 위키가 있고, 그 중에 영향력이 있는 몇 가지 위키들을 추려내면 몇 가지 위키가 추려진다. 나무위키와 한국어 위키백과, 리브레 위키와 리그베다 위키로 이어지는 이 목록에 있는 위키들은 각자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고 특히...
위키에서 다중계정을 판별하는 것에 대하여
인터넷 상에서 누가 진짜로 ‘누구’ 인지 식별하는 것은 어렵다.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인 웹에서는 요청 시 헤더에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극히 일부의 정보를 보낼 뿐이다. 웹표준에서는 공인인증서를 사용하지...